본문 바로가기

SPR2

[SPR(surface plasmon), LSPR(localized surface plasmon), Plasmon effect, 전자 공명] 저번시간에 SERS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 해보았는데요. 설명하던 중 중요한 개념이 있어 글을 새로 다시 써보려고 합니다. 바로 SPR과 Plasmon 현상입니다. [SPR(surface plasmon), LSPR(localized surface plasmon)] SPR은 입사한 빛이 일정한 각도에서 금속 박막과 교차할 때 발생하는 국소 표면 전하 밀도의 변화로 인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를 이용하여, 분자의 흡착, 결합, 반응 등을 감지하는 분석 기술입니다. 예를 들면, 신약 개발 분야에서는 SPR을 이용하여 어떤 물질과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 항체 연구에서는 항체가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을 연구합니다. SPR을 이용하여 바이오 센서를 만들어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의 감지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 2023. 3. 28.
[SERS(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의 역사와 연구동향, SERS의 장점, hot spot, 핫스팟] 저번 시간에 Raman scattering은 굉장히 약한 신호라는 것을 알려드렸습니다. 이런 약한 라만 신호를 증폭시키는 다양한 현상이 있는데요. 이를 활용한 것을 SERS 표면 증강 라만 산란이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해볼까요? 그전에 우리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관련 역사를 소개해드려고 합니다. [SERS의 역사와 정의] Raman 스펙트럼 분석의 감도를 대폭 개선시키는 기술로서, 1974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초기에는 SERS 신호 증폭 메커니즘이 불명확하였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연구를 진행하며 몇 가지 가설을 제시되었습니다. (i) 화학적 향상, (ii) 공명 라만 향상, (iii) 전하 이동 공명 향상 및 (iv) 플라즈몬 공명 향상 과정 .. 2023. 3. 27.